개별 유아를 위한 적절한 지원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먼저 유아의 놀이 참여 특성과 장애로 인한 어려움 등 개별 유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또한, 놀이 참여 지원에 도움을 줄 환경적 요소룰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원 계획 수립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1) 놀이 참여 특성을 파악하기
- 놀이에 참여한 시간 파악하기
- 성인, 또래, 놀잇감 등 놀이 대상 파악하기
- 어떤 방식으로 놀이하는지 알기 위해 놀이 유형 파악하기
(2) 놀이 참여와 관련된 환경적 요소를 파악하기
- 놀이 참여 지원에 도움을 줄 놀이 공간, 놀이 자료, 놀이 시간, 학급문화 및 또래 등 환경적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기
(1) 놀이 참여특성 파악하기
▶ 특성 파악이 왜 필요할까?
· 놀이 지원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 놀이 지원 전략을 결정하기 위해서
▶ 무엇을 관찰할까?
· 놀이에 참여한 시간의 양
- 유아는 놀이에 참여하는가? 또는 참여하지 않는가?
- 유아는 놀이에 얼마나 오래 참여하는가?
· 놀이 참여 대상
- 유아는 어떤 놀잇감을 가지고 노는가?
- 유아는 얼마나 다양한 놀잇감을 가지고 노는가?
- 유아느 혼자 노는가 또는 누구와 함께 노는가?
- 유아는 얼마나 다양한 사람과 노는가?
· 놀이 유형
- 유아는 어떤 놀이 행동을 보이는가?
- 유아는 어떤 유형의 놀이에 참여하는가?
- 유아가 자주 보이는 놀이 유형은 무엇인가?
- 유아가 전혀 보이지 않는 놀이 유형은 무엇인가?
- 유아의 근접달달영역에 해당하는 놀이 유형은 무엇인가?
▶ 어떻게 관찰할까?
· 놀이에 참여한 시간의 양 측정하기
· 놀이 참여 대상에 초점을 두어 관찰하기
· 놀이 유형에 초점을 두어 관찰하기
<대상놀이에 대한 놀이 유형 및 예시>
영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대상놀이의 유형 및 예시를 보여준다. 놀이 유형은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달하여 유아기 무렵 상징놀이 단계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가 연령에 적절한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발달적으로 더 높은 단계의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감각운동놀이- 만지고, 입에 넣고, 깨물고, 냄새 맡고, 두드리고, 발로 차고, 들어 올리고, 잡아당기는 등 자료를 탐색함
· 관계탐색놀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쌓고, 분류하고, 연관 지으면서 대상의 속성간의 관계를 발견함
· 기능적 놀이- 대상의 원래의 용도대로 사용함
· 기능적 가상놀이- 실물이나 모형을 원래의 용도대로 흉내 내며 가상놀이를 함
· 상징놀이- 대상을 마치 다른 물건인 것처럼 사용함
- 대상이 없는데도 그 대상을 사용하는 모습의 행동을 수행함
- 자신, 대상, 또는 다른 사람에게 역할, 정서, 속성을 부여함
<사회적 놀이에 대한 놀이 유형 및 예시>
영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놀이의 유형 및 예시를 보여준다. 놀이 유형은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달하여 유아기 말에 이르러 협동놀이 단계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연령에 적절한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발달적으로 더 높은 단게의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비점유행동- 함께 놀이한다기보다는 순간적인 흥미로 사람이나 사물을 쳐다봄
· 단독놀이- 가까이 있는 또래가 가지고 노는 것과는 다른 놀잇감을 가지고 혼자 놀이함
· 방관놀이- 서로 놀이하는 것을 쳐다보며 간혹 서로에게 말을 하기도 함
· 평행놀이- 서로 가까운 거리에서 비슷한 놀잇감으로 놀이하지만 상호작용은 거의 하지 않음
· 연합놀이- 서로 가까운 거리에서 같은 자료를 가지고 놀이하면서 자신의 놀이나 자료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지만, 대체로 자신의 놀이 행동에 몰두함
· 협동놀이- 동일한 목적으로 같은 놀잇감을 가지고 함께 놀이함, 놀이 활동은 공동의 목표 또는 주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짐
<장애로 인한 특성이 놀이 참여에 미칠 수 있는 영향 >
유아가 놀이 참여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같은 모습이라도 개별 유아가 가진 특성에 따라 그 이유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댜 한다. 다음은 장애로 인한 발달 특성이 놀이 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사례이다.
· 예) 한 가지 놀잇감만 가지고 놀아요
장애 | 징애로 인한 발달 특성 | 놀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
발달지체 | 인지 및 학습에서의 어려움 | - 놀이 수준이 또래에 비해서 낮다 - 다양한 놀잇감에 대한 활용 방법을 알지 못한다. |
자폐성장애 | 제한적 관심 | - 좋아하는 특정 자극이나 놀이의 요소가 있다. - 특정 놀잇감만 고집한다. |
시각장애 | 시각걱 정보인식 및 관찰의 어려움 | - 놀잇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 놀익삼을 시각적으로 탐색하기 어렵다. - 놀잇감의 조작방법을 관찰하기 어렵다. |
청각장애 | 소리 인식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 친구와 원활한 소통이 되지 않아서 혼자 익숙한 놀잇감만 가지고 논다. |
지체장애 | 운동 기능의 어려움으로 인한 이동과 조작의 어려움 | -이동이 어려워서 한 곳에서만 놀이한다. -놀잇감 조작이 어려워서 조작하기 쉬운 놀잇감만 가지고 논다. |
(2) 놀이 관련 환경적 요소 파악하기
▶ 환경적 요소 파악이 왜 필요한가?
· 유아의 놀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서
· 유아의 놀이 참여를 어렵게 하는 환경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서
· 놀이 참여를 촉진하는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
▶ 무엇을 관찰할까?
·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
· 놀이공간, 놀이자료, 놀이시간, 학급 문화와 또래
▶ 어떻게 관찰 관찰할까?
· 놀이공간, 놀이자료, 놀이시간, 학급 문화와 또래 등의 환경적 요소 중 특수교육 대상유아의 놀이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 대해 관찰한다.
<놀이공간>
· 유아에게 매력적인 공간인가?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는 놀이 환경으로 구성되지 않으면 놀이를 이끌기 어려울 수 있다.
· 특별한 목적 없이 중앙이 텅 빈 공간으로 구성되었는가? 중앙의 빈 공간은 유아가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 영역이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놀이할 공간이 너무 좁지 않은가? 영역이 너무 세분화되면 어떤 영역에서 놀지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놀이를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 수 있다.
· 교실에 놀잇감이 너무 많이 비치되어 혼란스럽지 않은가? 놀잇감이 너무 많고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어떤 놀이를 할지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유아가 놀잇감에 독립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 안전과 참여 증진을 위해 유아의 신체 및 감각저그어려움을 파악하고 환경을 수시로 점검하여 접근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놀이자료>
· 교실에 유아의 관심이나 흥미에 적절한 놀잇감이 있는가? 유아가 놀지 않고 배회하거나 놀이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 좋아하는 놀잇감이 있는지 먼저 확인해볼 수 있다.
· 다양한 유형으로 놀 수 있는 비구조화된 놀잇감을 비치하고 있는가? 놀이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비구조화된 놀잇감은 창의성 발달은 물론 감각운동놀이부터 상징놀이까지 다양한 유형의 놀이를 즐기는 유아들이 함께 놀게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 상징놀이와 유아 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놀잇감을 갖추고 있는가? 학습교구보다는 상징놀이나 유아 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놀잇감이 유아의 기능적인 인지 발달이나 사회-정서 발달, 의사소통 발달등에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유아가 조작하거나 놀이하는데에 어려움을 가지는 놀잇감이 있는가? 소근육운동에 어려움이 있거나 감각적인 어려움이 있는 경우 놀잇감 조작이나 접근이 어려워 놀이에 잘 참여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이를 점검하고 놀잇감 수정 등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 충분한 수의 놀잇감이 비치되어 있는가? 같은 종류의 놀잇감을 여러 개 비치하면 평행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상호작용울 촉진하거나 연합놀이 상황을 이끌 수 있다.
<놀이 시간>
· 놀이 시간은 충분한가? 이동하거나 조작하는 데 시간이 걸리거나 놀이에 몰입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유아가 있다면 놀이 시간을 좀 더 확보하여 참여를 지원할 수 있다.
· 일과를 예측가능하게 진행하고 변경괴는 경우 유아들과 함께 의논하거나 충분한 안내를 제공하는가? 앞으로 일어날 활동이 무엇인지 알면 더 잘 참여할 수 있으며 특히 자폐성장애 유아나 발달지체 유아의 활동 참여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학급 문화와 또래>
· 유아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다 같이 안전하고 즐겁게 놀기위한 규칙이 공유되고 있는가? 다양한 친구들이 다 같이 안전하고 즐겁게 놀이하기 위한 학급 차원의 규칙은 긍정적 행도 지원의 보편적 중재 역하릉 할 수 있다.
· 학급 전체 유아들의 또래 관계는 어떠한다.? 유아들이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놀이 친구로 인식하는지, 관심을 보이거나 함께 노는 것을 좋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지원한다.
· 현재 학급에서는 어떤 놀이가 진행되고 있는가? 학급에서 진행되는 놀이 중 유아가 관심을 보이는 놀이, 유아의 흥미와 연결 지을 수 있는 놀이를 파악하여 참여를 지원한다.
· 학급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은 무엇인가? 유아의 현재 행동이나 놀이 중 또래들의 관심과 흥미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학급의 놀이로 제안하여 확장할 수 있다.
· 학급 유아들은 서로에게 유능한 놀이 상대가 되고 있는가? 유아들이 서로에게 유능한 놀이 상대가 된다면 특수교육대상유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아들은 다양한 친구와 놀이 위한 방법을 고안할 수 있으며 함께 놀기를 즐긴다.
<유능한 놀이 상대로서 또래의 역할>
· 또래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상대로서 놀이 촉진자이자 시범자 역할을 할 수 도 있고 놀이중 자연스럽게 교육과정 수정을 하기도 하기 때문에 또래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교수적 수정 (12) | 2024.02.13 |
---|---|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환경적 수정 (9) | 2024.02.11 |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9) | 2024.02.07 |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발달 및 놀이특성 (10) | 2024.02.05 |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놀이 (5)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