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아교육개론] 유아발달이론- 성숙이론, 학습이론

유아교육/유아교육개론

by atoz나라 2023. 10. 6. 10:00

본문

728x90

썸네일[유아교육개론] 유아발달이론- 성숙이론, 학습이론
[유아교육개론] 유아발달이론- 성숙이론, 학습이론

 

 

유아발달이론

성숙이론

 성숙이론은 환경이 발달에 주도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유아가 지닌 능력 이상으로 교육하게 되면 유아에게 좌절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성숙이론에 의하면 발달이란 유기체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경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2차적 역할을 한다고 한다. 성숙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성숙이론의 대표적 학자인 게젤의 이론을 이야기해보려 한다.

 

 게젤(Gessell)의 의하면 발달의 단계는 종의 생물학적 역사화 진화론적 역사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한다. 다시 말하면 유기체의 발달은 본질적으로 생물학적 체계의 성숙 과정의 통제 하여 있다. 환경은 성숙에 보조적 역할만을 담당하며 변화를 위한 어떤 추진력도 제공하지 못한다. 그렇지만 발달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시키지는 않았다. 정상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적 조건 또한 필요하다. 다만 성숙과 환경 이 두가지 중 성숙이 인간 발달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게젤은 어린이의 신체 활동을 관찰한 결과 어린이의 신경계가 충분히 성숙되어 준비가 완료된 후에야 앉고 걷기를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어린이에게는 어떤 행동을 할 수 있게 되는 준비도를 결정짓는 내적 시간표가 있으며 이 시간표에 따라 발달이 이루어진다.

 

성숙이론에 기초한 게젤의 아동양육 원리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아동양육은 아동 내부의 성숙적 요구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어떤 행도의 학습은 문화적인 관습보다 아동 내부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시도되어야 한다.

셋째, 부모는 아동의 요구와 필요에 대한 예민한 판단력을 길러야 한다.

성숙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발달에서 환경이나 학습의 효과보다는 성숙의 효과를 강조했다는 측면에서, 유아가 준비되기 이전에 지나치게 많은 학습을 강요하기 보다는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주면서 교육을 하는 것이 유아의 내적 잠재력을 발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학습이론

학습이론은 아동발달에서 생물학적인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을 더 강조한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인간의 행동은 변화될 수 있으며 발달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는다. 학습이론가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생물학적 요인이나 인지적 사고 구조보다는 눈에 보이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므로 학습이론을 행동주의라고도 한다.

 

(1)스키너(Skinner)의 학습이론

 스키너의 학습이론은 모든 인간의 행동은 행동에 뒤따르는 결과가 어떠한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즉, 유아가 어떤 행동을 하였을 때 그에 뒤따르는 결과가 긍정적인 것이라면 그 행동은 자주 일어날 것이다. 반대로 어떤 행동을 하였을 때 그에 뒤따르는 결과가 부정적인 것이라면 그 행동은 감소할 것이다. 이렇듯 어떤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강화(reinforcement)라고 하며 어떤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벌(punishment)이라고 한다. 스키너는 강화와 벌을 통하여 인간의 행동을 조작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를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유아가 친구를 도와주는 행동을 하였을 때 교사가 칭찬을 했다면 친구를 도와주는 행동의 빈도는 증가할 것이다. 반면 유아가 친구를 때리거나 방해했을 때 교사가 무시를 하거나 잠시 교실 한 구석에 서 있도록 벌을 준다면 유아의 때리는 행동은 감소할 것이다. 이렇듯 교사는 강화와 별을 통하여 유아의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부정적인 행동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유아의 행동을 훈련하거나 수정하려고 할 때 그리고 특수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2)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만으로는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인간의 행동을 학습할 때에는 직접적인 강화가 필요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영수가 다른 친구를 도와줄 때 교사로부터 긍정적인 보상인 칭찬을 받았다면 영수의 친구 도와주기 행동의 빈도는 증가할 것이다. 그런데 직접 칭찬을 받지 않은 철수의 친구 도와주기 행동의 빈도도 증가한다. 이에 관해 반두라는 직접 보상을 받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인간은 다은 사람이 보상을 받는 것을 관찬함으로써 그 행동을 증가시켜 간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모방학습 또는 대리학습이라 한다. 반두라의 이론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에 비해 인간을 훨씬 능동적인 존재로 보고 있으며, 스키너가 주로 동물 실험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구축했던 것에 비해 일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토대로 자신의 이론을 구축해 나갔으므로 사회학습이론이라고 한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