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놀이이해자료]짧고 단순한 놀이(놀이 사례에서의 의미읽기)

유아교육/누리과정 놀이 이해자료

by atoz나라 2023. 12. 9. 10:42

본문

728x90

썸네일[놀이이해자료]놀이 사례에서의 의미읽기- 짧고 단순한 놀이에서의 의미 읽기
[놀이이해자료]놀이 사례에서의 의미읽기- 짧고 단순한 놀이에서의 의미 읽기

 

짧고 단순한 놀이(놀이 사례에서의 의미읽기)

교사의 질문

1) 놀이는 언제 시작하고 언제 끝나나요?

2)  3세도 놀이를 하나요?

3) 짧고 단순한 놀이도 놀이인가요?

 

 

이야기, 이야기, 또 다른 이야기

<교사의 질문>

 유아는 끊임없이 이야기를 만든다. 이야기는 새로운 이야기로 연결되고, 그 이야기는 놀이에 생동감을 준다. 이러한 이야기는 때로는 짧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3세 유아의 놀이가 너무 짧다거나 놀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걱정하기도 한다. 주제가 있고 이와 연결되는 놀이만이 놀이라고 할 수 있을까?

 

<교사의 놀이의미 읽기 시작>

놀이 시간에 2명의 유아가 악기를 가지고 즐겁게 놀이하는 모습을 보고 무슨 놀이인지 궁금하여 놀이를 따라가기 시작하였다.

 

<교실 전경>

 유아는 아침에 등원하여 놀이 자료를 탐색하기도 하고, 다른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기도 한다. 몇몇의 유아는 교사에게 집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쌓기 놀이 공간에 먼저 온 유아는 도로를 만들어 자동차를 굴려 보는 놀이를 하고 있다. 또 미술 공간에서는 그림을 그리거나 여러 가지 놀이 자료를 탐색해 본다. 어떤 유아는 교사에게 책을 읽어 달라고 하며, 그림책을 보기도 한다.

 수연이는 먼저 와 있는 은지를 보더니 활짝 웃으며 음률 공간으로 달려간다.

 

<유아의 놀이 경험>

 은지와 수연이는 아침 등원 시간에 만나 반가움을 나눈다. 그리고 나서 음률 공간에서 코끼리 코 악기로 수영장, 수영장 미끄럼틀로 상상하여 표현하고, 실로폰 채로는 사람으로 가상하여 수영장 놀이를 한다. 두 유아는 수영장 놀이와 자신의 경험(수영장 침대, 물속에서 나와 추웠던 경험 등)을 연결하여 침대를 만들고, 실로폰 채가 춥지 않도록 침대 이불을 만들어 덮어 주며 놀이를 이어 간다. 그러다 침대와 이불이었던 코끼리 코를 배로 만들어 떠내려가는 배 이야기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두 유아의 이야기에는 실로폰이라는 새로운 놀이 자료가 추가된다. 그러자 실로폰은 위험한 다리가 되고, 위험한 다리를 건너갈 수 있는 슈퍼맨이 등장하는 이야기로 변화한다. 이처럼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연결된다.

 이러한 이야기 짓기 놀이에서 상상을 기꺼이 받아 주는 또래가 있어 유아는 몰입한다. 그래서 이야기가 계속될 수 있다. 3세 유아의 소통능력은 뛰어나다. 이러한 소통능력으로 인해 유아는 놀이에 즐겁게 참여한다.

 

<교사의 놀이 이해>

 교사는 악기도 유아에게 이야기 짓기의 소재가 되는 놀이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3세 유아도 또래와 상상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놀이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사의 성찰>

 음률 공간에서 유아가 악기 소리를 탐색하고, 악기를 연주해 보며, 노래도 부르는 등 다양한 경험을 해 보길 기대했는데 뜻밖에도 악기들이 여러 가지 사물로 가작되어 이야기 짓기와 상상놀이로 연결되고 있었어요. 유아를 바라보며 ‘악기의 용도와 연주 방법에 대하여 알려 주어야 할까?’, ‘이렇게 놀이하는 것도 허용해 주어야 할까?’를 고민하게 되었어요. 그렇게 내가 고민하는 사이에도 두 유아는 재미있는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만들어 내며 즐거운 상상놀이를 이어 가고 있었어요.

 짧게 흘러가는 놀이 속에 유아들의 다양한 경험과 생각이 들어 있는 것을 보게 되었고, 내용이 수시로 변하고 다양한 이야기가 연결되면서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운 놀이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 되었어요. 유아들의 놀이는 참여한 유아들이 각자의 경험을 의미 있게 연결해 가고, 그 과정에서 의미 있는 배움을 습득해 가는 것을 보여 주었어요.

 단지, 음률 공간에서의 악기라고 해서 놀이 자료의 본래 놀이 방법만을 중요하게 안내하였다면, 그래서 이러한 놀이가 허용되지 않았다면 이렇게 즐겁게 전개되는 유아의 놀이는 경험하기 어려웠을 것 같아요. 유아들은 때때로 교사가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놀이하지만 그러한 놀이를 긍정적으로 허용하고, 격려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새로운 배움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교사 지원의 특징>

유아가 재미있게 놀이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간에 개입하지 않고 주도적으로 놀이하도록 하였다.

 

<5개 영역 내용 연계>

▷의사소통

듣기와 말하기→상대방이 하는 이야기를 듣고 관련해서 말한다.

책과 이야기 즐기기→말놀이와 이야기 짓기를 즐긴다.

•유아는 놀이하는 또래의 이야기를 듣고 관련 지어 말하며 놀이를 이어 간다. 유아는 상상을 통해 다양한 상황(수영장, 침대, 이불, 표류하는 배, 다리 등에서 놀이하는 상황)을 지어내고, 지어낸 상황에 맞게 이야기를 짓는 것을 즐긴다.

▷예술경험

창의적으로 표현하기→극놀이로 경험이나 이야기를 표현한다.

•유아는 수영장, 침대, 표류하는 배, 다리 등에서 놀이하는 상황을 자유롭게 이야기로 표현한다.

 

 

블록과 이야기

 

유아는 가상놀이를 즐긴다. 블록 놀이를 하며 상상놀이를 즐긴다. 이야기가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교사의 놀이의미 읽기 시작>

놀이 시간에 3세 유아가 블록 공간에서 블록을 쌓다가이야기를 짓기도 하고 이야기를 짓다가 블록을 쌓기도 하였다. 교사는 이것이 블록 놀이인지 상상 놀이인지 궁금하여관찰하기 시작하였다.

 

<교실 전경>

 놀이 시간에 유아는 레고, 나무 블록 등이 있는 블록 공간에서 구성물을 만들며 자유롭게 놀이한다. 몇몇 유아는 책을 보고, 또 다른 유아는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만들고 싶은 놀잇감을 만든다. 그리고 유아들은 다양한 크기의 종이와 가위, 풀 등이 있는 공간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혹은 종이를 접거나 오리면서 여러 모양을 만들고 있다. 교사는 유아가 재활용품 만들기를 하며 붙여 달라는 요청을 들어주거나 블록 공간에서 놀이하는 유아를 옆에서 지켜보다가 유아가 놀이 참여를 원할 때 개입한다

 

<유아의 놀이 경험>

 지율이와 수영, 은지가 함께 블록으로 집을 구성하고 있다. 블록으로자유롭게쌓고,무너뜨리고, 다시 쌓고 하는 과정에서 순간순간 떠오르는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만든다. 서우는 늑대의 모습을 흉내 내며 친구들에게 다가간다. 지율이와 수영이는 늑대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튼튼한 집을 지으면서도, 문으로 들어오겠다는 늑대를 위해 문을 만든다. 서우는 자신이 늑대라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해 작은 문틈으로 발을 쓰윽 넣으며 친구들과 소통하고 깔깔대며 웃는다. 유아는 각자의 경험을 이야기로 만들어 진짜인 듯, 가짜인 듯상상놀이를 즐긴다.

 서우는 다시 사람이 되겠다고 하며 함께 집 만들기에 참여한다. 늑대를 막아 내기 위한 문에 사용했던 블록은 출입문으로 변형되고, 침대로 사용했던 블록은 미끄럼틀로 변형된다.

 함께 놀이하는 친구와 의견이 맞으면 하던 이야기를 계속 이어가고, 맞지 않으면 금방 새로운 이야기로 바꾼다. 유아는 상대와 주제에 따라 놀이를 즉각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상상력을 발휘한다. 그래서 갈등은 없다. 그보다는 놀이하는 즐거움이 더 크다.

 

<교사의 놀이 이해>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쌓기 놀이, 역할 놀이, 구성 놀이, 이야기 짓기 등으로 구분 짓고 공간을 분리하여 교실을 구성하지만, 유아는 그 모든 놀이를 한 공간에서 동시에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놀이의 통합적 성격을 보여 준다.

 

<교사 이야기- 놀이 상대와 주제가 빠르게 변화되는 놀이지원>

 유아들이 블록 놀이를 통해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펼쳐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여유를 주고 그 모습을 지켜보며 격려해 주었어요. 유아가 혼자 구성물을 만들거나 친구와 함께 만들면서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고 생각되었고, 제가 중간에 개입하면 놀이가 중단될 것 같아 우선 지켜보았어요.

 세 명의 유아가 함께 집을 만들며 잘 놀고 있는데,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유아가 새롭게 들어오는 것을 보면서 기존에 놀고 있던 유아가 싫어할 것 같아 순간 당황스러웠어요. 그리고 친구들이 건드려 집이 무너질 때도 서로 다툼이 생기지는 않을까 약간 걱정이 되었어요. 그러나 유아에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었어요. 그러자 유아는 친구의 제안에 따라 곧바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다시 새로운 집을 지었어요.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함께하던 놀이에서 빠져나와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면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것을 보고 기다려 주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전에는 놀이가 이어지지 않고 빠르게 바뀌는 것이 고민이 되기도 했는데, 유아의 놀이를 지켜보면서 블록을 구성하고 상상하고 이야기하고 듣고 공유하고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 그 짧은 순간에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어요. 이러한 모습을 유아와 공유하고 싶어서 놀이를 관찰하며 기록한 사진과 이야기를 전시하여 유아도 자신의 놀이를 재방문하고 놀이가 더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어요.

 

 

내가 좋은 생각이 났어

 

<교사의 질문>

놀이는 어떻게 시작되고 어떻게 끝나는 걸까?

 

<교사의 놀이의미 읽기 시작>

미끄럼틀 아래 숨는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였고, 유아가 자유롭게 놀이하도록 하였다.

동영상과 짧은 글로 유아의 놀이 흐름을 기록 하였다.

 

<교실 전경>

 하늘반 유아와 함께 바깥놀이터로 나갔다. 유아는 자유롭게 놀기 시작한다. 바닥에 기어 다니는 개미를 관찰하기도 하고, 미끄럼틀을 타기도 하며, 친구들과 함께 술래잡기도 한다.

 개나리 꽃잎을 뿌리며 축제 놀이를 하던 현수는 서준이가 축제 놀이를 ‘수리수리마수리’로 바꾸려 하자, 수리수리 마수리는 안 좋다며 대신 숨기 놀이를 시작한다.

 

<유아의 놀이 경험>

 현수는 개나리꽃으로 친구들과 함께 축제 놀이를 하기를 원했지만 축제 놀이에 관심을 보인 서준이는 현수가 하는 놀이를 ‘수리수리 마수리’라고 한다. 그러자 현수의축제 놀이는 숨기 놀이로 변화한다. 현수는 몸을 움직여 작게 만들어 낮은 미끄럼틀아래 공간으로 숨고, 은성이에게 함께 숨자고 한다. 숨어 있다가 바닥에 떨어진 꽃잎을 발견하고는 꽃잎으로 만들기를 하자고 은성이에게 제안한다. 현수의 숨는 놀이는 현수가 꽃잎을 만나면서 변화한다. 그러던 순간 현수는 자신을 관찰하고 있던 카메라를 발견하고 “어떡해, 찾아 버렸어, 찾았다. 찾았어.”라고 말하며 비디오를 찍고 있던 교사를 술래로 만들어 버린다.

 현수는 미끄럼틀 아래에서 빠져나와 벽돌을 발견하고, 은성이와 케이크를 만드는 놀이를 한다. 나뭇잎으로 벽돌 케이크 꾸미기를 하다가 바람이 불자, 벽돌을 옮기기로 한다. 놀이의 흥미와 관심은 다시 무거운 벽돌을 옮기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전환된다. 벽돌을 옮기기 위해 은수와 현수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수정하고 발전시킨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벽돌 옮기기를 시도한다. 이 과정에 서율, 지아, 민재, 서준, 수영이를 놀이로 끌어들이고,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은 공유된다.

 마침내 벽돌을 옮기고, 다 같이 케이크 만들기를 하지만 수영이가 개미를 발견하면서 개미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들을 이야기하는 놀이로 변화한다. 개미가 움직이지 않자 죽었을 것이라고 하고, 크기가 작으므로 아기일 것이라고 하고, 눈에 보이지 않을 만한 크기의 개미가 놀이터 바닥 구멍 사이로 들어가 보이지 않자 집에 갔을 것이라고 상상하는 이야기는 은성이와 현수가 개미를 찾는 일에 더욱 몰입하도록 한다.

 은성이와 현수가 개미 찾기에 몰입하는 동안 서율, 지아, 민재, 수영은 벽돌에 꽃잎과 나뭇잎을 올리며 케이크를 만든다. 바닥에서 주워 온 나뭇잎과 꽃잎들에 대해 ‘예쁜 것’, ‘무지개 꽃’, ‘구워 주자.’, ‘더 올리자.’와 같은 언어적 표현을 하면서 케이크 만드는 놀이를 공유한다. 그러다가 개미 찾기를 하던 현수와 은수도 케이크 만들기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현수가 개미 찾기를 하는 사이에 친구들이 만든 케이크와 현수의 이전 경험이 만나 케이크에 꽂는 초를 만들고,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면서 촛불을 끄는 놀이가 계속해서이어진다.

 

<교사의 놀이 이해>

 교사는 3세 유아가 스스로 놀이를 주도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그 놀이는 시작과 끝이 명확하지 않고 의도치 않은 사건이나 물질과 만나며 계속 변화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개나리꽃, 미끄럼틀 아래 어둡고 좁은 공간, 바닥의 꽃잎, 카메라를 든교사, 벽돌, 개미, 바람과 같은 물질이나 사건으로 인해 유아의 놀이는 우연히 즉흥적으로 창조되고 변화한다.

 

<교사 지원의 특성>

유아가 바깥에서 자유롭고 주도적으로 놀이 하도록 허용하였다.

 

 

                                                                                                                                                     출처- 공공누리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