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사회적으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고, 말 · 몸짓으로 의사소통하는 데 있어서 장애를 보이며 활동과 관심영역이 제한되는 특성을 보이는 장애로 알려져 있다.
미국 정신의학협회에서 출간한 진단 자료집(DSM)의 기준에 의한 자폐성장애
- 사회적 상호작용(눈 맞춤, 얼굴돌림, 지시 따르기 등)의 질적 결함
- 의사소통의 질적결함
-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상동 행동적 특성을 보이는 행동, 관심, 활동
-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해서 사용되는 언어, 상징놀이나 상상놀이에서 한 가지 이상의 발달지체나 비정상적인 기능이 3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다.
2) 원인
자폐성 장애의 원인은 뇌의 기능이상으로 인해서 나타난다는 정도로 추정하고 있을 뿐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현재 생의학 분야의 관련학자들은 자폐성 장애가 두뇌 발달 이상이나 두뇌 신경손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데 동의한다. 자폐성 장애인의 소뇌의 이상과 대뇌 피질의 이상이 발견되고 두뇌의 화학적인 작용과 관련된 요인, 특히 두뇌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이 언급되고 있다.
3) 특성
- 언어직 특성은 상대방의 질문을 그대로 따라하는 반향어의 형태를 보이고, 자주 의미 없는 단어들을 사용한다.
- 사회적인 상호작용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눈맞춤의 결여, 주위 사람들과의 빈약한 애착형성, 특정한 사물에 대한 강한 집착 그리고 또래와 어울리기보다는 고립된 행동을 하며 혼자 노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 자주 반복적인 활동(예: 응시하기, 지나치게 눈깜박이기)이나 움직임(예: 장난감 바퀴 돌리기, 손을 좌우로 움직이기), 자기 스스로를 물고 할퀴고 때리는 자해행동을 보인다.
4) 교수방법
자폐성장애유아의 교육은 사회성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능적인 언어교육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능한 한 조기교육을 제공하며, 행동분석을 적용한 구조화된 교육, 통합교육,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한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교육활동에 가족지원 및 부모참여가 매우 강조된다.
- 또래들에게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친다.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에게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친다.
- 사진이나 그림을 이용하여 하루 일과를 알 수 있는 일과표를 제공하고, 다음에 일어날 일과나 활동을 미리 알 수 있게 해 준다.
- 학급 내에서 해야 하는 행동과 하지 않아야 하는 행동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시각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고 설명은 쉽고, 분명하고, 간략하게 한다.
-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유아는 반향어나 기타 적절하지 않는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곤 한다. 따라서 의사소통의 기능에 따라 적절한 행동이나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돕는다.
- 정확한 말의 형태를 사용하는 데 초점을 두기보다 의사소통의 기능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로 필요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의 기능 (13) | 2024.04.05 |
---|---|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이해- 의사소통장애 (8) | 2024.04.04 |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이해- 정서, 행동장애 (19) | 2024.04.02 |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이해- 지체장애 (17) | 2024.04.01 |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이해- 정신지체 (3) | 2024.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