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놀이이해자료]놀이에 대해 묻고 답하기- 2

유아교육/누리과정 놀이 이해자료

by atoz나라 2023. 12. 25. 10:55

본문

728x90

썸네일[놀이이해자료]놀이에 대해 묻고 답하기 2
[놀이이해자료]놀이에 대해 묻고 답하기 2

 

놀이에 대해 묻고 답하기- 2

놀이의 변화와 반복 

• 교사는 유아가 순간순간 놀이를 바꿀 때 불안하지 않았나요?

처음에는 유아의 변화무쌍한 놀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유아의 경험은 모두 다릅니다. 그래서 유아가 함께 놀이한다는 것은 유아들의 서로 다른 놀이 경험이 만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유아는 함께 놀이하며 친구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입니다. 친구도내 생각을 받아 줍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유아의 놀이는 자꾸 변형됩니다. 또한 유아는 놀이하면서 다른 놀이를 떠올리는 것 같습니다. ‘무엇을 해야지.’라고 생각하고 놀이를 하지만 이내 놀이는 변형됩니다. 왜냐하면 놀이가 놀이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놀이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유아의 놀이를 지켜볼 수 있게 됩니다. 변화무쌍한 놀이가 오히려 재미있습니다. 진짜 놀이인 것 같습니다.

 

• 교사는 유아의 변화하는 놀이를 어떻게 지원해 주어야할까요?

자주 변하는 놀이 맥락에서 유아가 즐기는 부분을 궁금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유아의 놀이를 지켜보거나 함께 놀이해 봅니다. 교사 역시 유아 놀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새로운 놀이 자료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거나, 질문을 해 봅니다. 그리고 유아가 교사의 제안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살펴보기도 합니다. 가끔은 교사의 제안대로 유아가 놀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교사의 제안대로 유아가 놀이하지 않을 때 유아의 생각을 더 잘 이해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 유아의 놀이는 언제 시작되고, 어떻게 끝이 나나요?

놀이는 유아가 무언가에 대해 흥미를 가지는 순간 시작됩니다. 유아의 흥미는 미리 준비된 것이나 특별한 것에서 촉발될 수도 있지만 간식 시간과 같은 반복적인 일상 속 아주 작은 관심에서부터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놀이 자료가 놀이를 시작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를 시작하기도 하지만 놀이를 하는 동안 놀이가 새로운 놀이를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놀이의 시작과 끝은 분명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늘 끝난 것 같은 놀이가 며칠 후 다시 살아나는 것을 봅니다. 놀이는 유아가 마음에 품고 있는 경험이기 때문에 어떻게 다시 살아날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놀이는 유아의 마음과 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놀이 공간과 시간의 구획은 유아의 놀이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때로는 놀이 공간이 유아의 놀이를 기다리기도 합니다. 유아가 놀이하기 시작하면 놀이 공간이 살아나고, 놀이가 다시 이어집니다. 놀이의 시작과 끝은 유아에게 중요한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놀이가 놀이를 만드니까요. 놀이의 끝은 또 다른 놀이의 시작입니다.

 

•유아가 놀이를 반복하는 것이 괜찮을까요?

유아의 놀이는 늘 비슷해 보입니다. 상상으로 이야기를 만들고, 종이를 접고 또 접고, 편지를 쓰고 또 쓰고, 엄마 놀이를 하는 등 유아의 놀이는 반복적입니다. 그래서 유아의 놀이를 관찰해 보면 동일한 것을 반복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종이 접는 방식이 바뀌기도 하고, 편지의 그림이 달라지고, 엄마 놀이도 이야기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유아 놀이를 유형으로만 보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유아의 놀이가 변화하도록 놀이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해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종이를 주거나, 쓰기 도구를 다양하게 주거나, 다양한 스티커를 주면 유아의 놀이가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교사의 눈에 반복되는 놀이는 교사의 적극적이 지원이 필요하다는 신호였던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무조건 놀이가 달라져야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놀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놀이 관찰

• 유아의 놀이를 잘 관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나요?

교사가 유아의 모든 놀이를 다 관찰하고 기록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또 어떤 놀이를 기록했다고 해서 바로 교육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유아의 놀이를 관찰만 한 경우, 기록까지 남긴 경우 놀이에 대한 이해 정도는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다만 지나친 의욕을 앞세우기보다는 교사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시도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영상이 아닌 사진 몇 장이라 하더라도 교사가 자신의 기억을 담아 짧은 글과 함께 남겨 두면 그것이 바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해의 시작이 됩니다. 놀이기록 역시 유아의 놀이처럼 무엇을 어떻게 기록할지를 알아 가게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교사 자신의 시선과 해석을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선생님 반의 놀이는 선생님의 관찰과 기록이 가장 정확합니다. 다만 관찰과 기록에서 경계해야 할 것은 과대 해석입니다. 놀이를 과대 해석하거나 과소평가하지 않기 바랍니다.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순환을 통해 교사 스스로 교육적 의미를 발견할수 있습니다. 이때 동료 교사와 함께하면 좀 더 수월할 수 있겠지요. 놀이 관찰과 기록은 우선 유아의 놀이에 귀를 기울이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유아의 놀이를 들여다보면 자연스럽게 기록하고 싶은 것이 생길 것입니다.

 

• 교사는 왜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여 기록하고, 전체 유아와 공유하나요?

교실의 유아가 서로를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유아들은 교사의도움으로 서로에 대하여 알아 가게 됩니다. <“준이는 뭐 하는 거지?”>, <그림 그리는 현이>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유아의 놀이를 함께 공유함으로써 서로를 이해하게 됩니다. 또 놀이를 공유하는 것은 놀이를 전체에게 소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유아는 다른 유아의 놀이에서 놀이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놀이 규칙

• 놀이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놀이의 즐거움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어야 할까요?

놀이의 즐거움이 중요하다고 해서 규칙이 무시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안전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유아의 놀이를 관찰해 보면 유아는 놀이 규칙을 어기거나 방해하는 행동이 일어나더라도 놀이를 중단하지 않고 놀이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욕구가 놀이 속에서의 차이나 갈등을 스스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닐까요? 유아는 놀이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놀이의 즐거움을 스스로 조정해 나갈 수 있습니다.

 

• 유아의 놀이에 규칙이 없는 것이 불편해요. 그대로 두어도 될까요?

유아의 놀이가 ‘게임’의 형태를 갖추지 않으면 불편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사가 규칙을 강조하는 것이 때로는 성인이 가지고 있는 기준에 유아를 끼워 맞추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뛰고 잡고, 또 뛰고 잡고> 사례에서 규칙이 없어도 유아는 다치지 않고 즐겁게 놀이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유아는 “친구하고 같이 뛰면 심심한 기분이 사라져요.”라고 이 놀이가 왜 좋은지를 말해 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유아는 놀이의 즐거움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을 바꾸며 놀이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유아에게 숨는 공간이란 어떤 의미일까요?

유아는 비밀스런 공간을 좋아해요. 그러나 그것이 나 혼자만의 동굴을 뜻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유아에게 비밀은 친구들과 공유하고 싶은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닐까요? 또 숨는다는 것은 누군가가 찾아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행동일지도 모릅니다. 유아는 종종 숨어서 “나 찾아 줘.”라고 큰 소리로 이야기하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유아는 숨어서 찾을 듯 찾지 못하는 아슬아슬한 느낌을 좋아합니다.

 

• 교사의 시선이 잘 미치지 않는 공간에서 유아를 놀게 해도 괜찮을까요?

안전이 확보된다면 이러한 공간에서의 놀이를 허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속에서 유아는 사물과의 우연한 만남과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유아가 자유로움을 느끼는 공간일수록 놀이의 변형과 확장은 더욱 풍부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이야기 맥락을 모른 채 끼어드는 유아가 있을 때 갈등이 생기지 않았나요?

 우리는 놀이의 맥락을 모른 채 새롭게 끼어드는 유아로 인해 순간당황스러워집니다. 그러나 유아는 맥락을 합의하지 않아도 서로협력하는 힘이 있습니다. 즉 매우 유연하게 놀이를 이끌어 간다는 의미입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함께 놀이할 때 모든 맥락을 동의하여 하나로 통일시키지 않습니다. 새로운 친구가 개입되면서 놀이는 처음의 맥락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흘러갈 수도 있지만 유아는 그 맥락 자체를 즐기기 때문에 불편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교사들은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유아로 인해 기존 유아가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유아들은 금세 놀이를 새롭게 하여 함께 즐기는 형태로 재창조해 내는 힘이 있습니다. 그것이 놀이의 자유로움이며 즐거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놀이 이해와 지원 

• 이 자료집의 사례를 제공한 교사들의 놀이 지원에는 어떤 특성이 있나요?

▷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융통성 있게 공간 운영하기

▷ 기다리고 지켜보기

▷ 유아의 생각을 수정하지 않고 따라가기

▷ 놀이 공유하기

▷ 다양한 매체를 제공하고 자유롭게 선택하는 유아의 놀이 따라가기

▷ 함께 놀이하기

▷ 교사가 제안을 하되 유아들이 그것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바라보기

 

 

 

[놀이이해자료]놀이에 대해 묻고 답하기- 1

놀이에 대해 묻고 답하기 1 자유롭고 즐거운 놀이의 의미 • 유아가 마음껏 놀이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하는 이유가 있나요? 마음껏 놀이할 수 있는 자유는 유아에게 즐거움과 행복감을 줍니다.

atoznara.tistory.com

 

 

출처- 공공누리

728x90

관련글 더보기